Responsive Advertisement
Dailynote
dailynote, daily review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 완벽 가이드 2025

2025년 최신 요율로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계산부터 실수령액 확인까지 3분이면 완성! 연봉별 계산 예시와 FAQ 10개 포함.

월급을 받을 때마다 공제되는 4대보험료, 정확히 얼마나 나가는지 궁금하셨나요?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요율을 기준으로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초보자도 3분이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 2025


1.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말하며, 근로자와 사업주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사회보험입니다.

4대보험 각각의 역할

보험 종류 목적 부담 주체
국민연금 노후 소득 보장 근로자 50% + 사업주 50%
건강보험 의료비 지원 근로자 50% + 사업주 50%
고용보험 실업 시 생활 안정 근로자 50% + 사업주 50% + α
산재보험 업무상 재해 보상 사업주 100%

핵심: 산재보험만 사업주가 100% 부담하고, 나머지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절반씩 부담합니다.

2. 2025년 4대보험 요율 총정리

2025년 4대보험 요율은 2024년과 대부분 동일하게 유지되었습니다.

📊 2025년 4대보험 요율표

보험 전체 요율 근로자 부담 사업주 부담 비고
국민연금 9.0% 4.5% 4.5% 상한액 637만원
건강보험 7.09% 3.545% 3.545% -
장기요양보험 0.9182% 근로자·사업주 절반씩 건강보험료의 12.95%
고용보험 1.8% 0.9% 0.9% +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산재보험 업종별 차등 0% 전액 부담 업종별 0.6~34%

💡 2025년 주요 변경사항

  1. 국민연금: 정부는 2025년부터 연령별 차등 인상을 발표했으나, 2025년 10월 현재 아직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당분간 9% 요율이 유지됩니다.
  2. 건강보험: 7.09% 동결
  3. 고용보험: 1.8% 유지 (2022년 7월 1.6%→1.8% 인상 이후 동결)
  4. 산재보험: 업종별 요율 유지

📌 상한액 및 하한액 (2025년 7월 기준)

국민연금

  • 상한액: 6,370,000원
  • 하한액: 400,000원

건강보험

  • 보수월액 상한: 12,705,698원
  • 보수월액 하한: 279,266원

3. 4대보험 계산기 종류

4대보험 계산기는 크게 공공기관 제공민간 제공으로 나뉩니다.

1) 공공기관 4대보험 계산기

①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 URL: www.4insure.or.kr
  • 특징: 가장 정확한 공식 계산기
  • 장점: 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이 공동 운영
  • 단점: 인터페이스가 다소 복잡

② 국민연금공단 계산기

  • URL: www.nps.or.kr
  • 특징: 국민연금 관련 상세 계산 가능
  • 장점: 예상 수령액까지 확인 가능
  • 단점: 국민연금만 계산 가능

③ 건강보험공단 계산기

  • URL: www.nhis.or.kr
  • 특징: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계산
  • 장점: 직장·지역가입자 모두 계산 가능
  • 단점: 건강보험만 계산 가능

2) 민간 4대보험 계산기

① 노동OK 계산기

  • URL: www.nodong.kr
  • 특징: 실수령액까지 한 번에 계산
  • 장점: 간편한 UI, 모바일 최적화
  • 단점: 참고용 (정확도는 공식 계산기가 높음)

② 비즈포인 계산기

  • URL: www.biz4in.com
  • 특징: 사업자 중심 계산기
  • 장점: 두루누리 지원금 계산 가능
  • 단점: 회원가입 필요

③ 기타 민간 계산기

  • 세무사·노무사 사이트에서 제공
  • 각종 포털 사이트 계산기
  • 장점: 접근성 좋음
  • 단점: 최신 요율 반영 여부 확인 필요

🎯 추천 계산기

초보자: 노동OK 또는 민간 계산기 (간편함)
정확한 계산 필요: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공식)
사업자: 비즈포인 (두루누리 지원금 확인 가능)

4. 계산기 사용법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계산기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STEP 1: 계산기 접속

  1. 웹브라우저에서 www.4insure.or.kr 접속
  2. 상단 메뉴에서 모의계산 → 4대보험 모의계산 클릭
  3. 또는 검색창에 "4대보험 계산기" 검색 후 접속

STEP 2: 기본 정보 입력

필수 입력 항목

① 월 급여액 (보수월액)

  • 세전 급여 금액 입력
  • 비과세 항목(식대, 교통비 등) 제외
  • 예시: 월급 300만원 → 3,000,000 입력

② 부양가족 수

  • 본인 포함 부양가족 수
  • 소득세 계산에 영향
  • 예시: 본인 + 배우자 + 자녀 2명 = 4명

③ 20세 이하 자녀 수

  • 자녀세액공제 적용
  • 예시: 자녀 2명 → 2 입력

STEP 3: 상세 옵션 입력 (선택사항)

① 사업장 규모

  • 근로자 수에 따라 고용보험 요율 차등 적용
  • 150인 이상 / 150인 미만 선택

② 업종 (산재보험)

  • 산재보험 요율이 업종마다 다름
  • 예시:
    • 사무직: 1.65%
    • 제조업: 1.6%
    • 건설업: 2.0~7.0%
    • 음식점업: 1.05%

💡 Tip: 업종을 모르면 기본값으로 계산 후, 정확한 요율은 회사 인사팀에 문의하세요.

③ 지역

  • 일부 지역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율이 다를 수 있음
  • 대부분 서울 또는 해당 지역 선택

STEP 4: 계산 결과 확인

계산하기 버튼 클릭 후 다음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 화면 구성

① 근로자 부담금

  • 국민연금: 135,000원
  • 건강보험: 106,350원
  • 장기요양보험: 13,775원
  • 고용보험: 27,000원
  • 합계: 282,125원

② 사업주 부담금

  • 국민연금: 135,000원
  • 건강보험: 106,350원
  • 장기요양보험: 13,775원
  • 고용보험: 27,000원 + α
  • 산재보험: 전액
  • 합계: 약 310,000원 (업종별 차이)

③ 실수령액

  • 월급 3,000,000원
  • 4대보험: -282,125원
  • 소득세: -약 50,000원
  • 지방소득세: -약 5,000원
  • 실수령액: 약 2,662,875원

STEP 5: 결과 저장 및 출력

① 결과 저장

  • 화면 캡처 (스크린샷)
  • 또는 "인쇄" 버튼으로 PDF 저장

② 결과 공유

  • 이메일 전송 기능 (일부 계산기)
  • 카카오톡 공유 (민간 계산기)

5. 실제 계산 예시

연봉별 4대보험료와 실수령액을 계산해보겠습니다.

📊 연봉별 4대보험료 비교표

연봉 월 급여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합계 실수령액
2,400만원 2,000,000 90,000 70,900 9,183 18,000 188,083 1,770,000
3,000만원 2,500,000 112,500 88,625 11,479 22,500 235,104 2,218,000
3,600만원 3,000,000 135,000 106,350 13,775 27,000 282,125 2,663,000
4,800만원 4,000,000 180,000 141,800 18,366 36,000 376,166 3,546,000
6,000만원 5,000,000 225,000 177,250 22,958 45,000 470,208 4,427,000

※ 실수령액은 소득세·지방소득세를 포함한 대략적인 금액입니다.

💡 계산 공식

국민연금

국민연금 = 월급여 × 4.5%
예시: 3,000,000 × 0.045 = 135,000원

건강보험

건강보험료 = 월급여 × 3.545%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 12.95%
예시: 
- 건강보험료 = 3,000,000 × 0.03545 = 106,350원
- 장기요양 = 106,350 × 0.1295 = 13,775원

고용보험

고용보험 = 월급여 × 0.9%
예시: 3,000,000 × 0.009 = 27,000원

특수 사례 계산

1) 고소득자 (상한액 적용)

월급 800만원인 경우

  • 국민연금: 637만원 상한 적용 → 286,650원
  • 건강보험: 상한 없음 → 283,600원
  • 고용보험: 상한 없음 → 72,000원
  • 합계: 약 690,000원

2) 저소득자 (하한액 적용)

월급 150만원인 경우

  • 국민연금: 40만원 하한 적용 → 18,000원
  • 건강보험: 정상 계산 → 53,175원
  • 고용보험: 정상 계산 → 13,500원
  • 합계: 약 93,000원

3) 알바·일용직 (두루누리 지원)

월급 200만원, 10인 미만 사업장

  • 정상 4대보험료: 약 188,000원
  • 두루누리 지원 (80%): -150,400원
  • 실제 부담액: 약 37,600원

자주 묻는 질문 (FAQ)

Q1. 4대보험 계산기 결과가 실제와 다른 이유는?

A: 다음과 같은 이유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비과세 항목 포함 여부: 식대, 교통비 등은 4대보험 제외
  2. 보수 외 소득: 연 2,000만원 초과 소득이 있으면 추가 부담
  3. 전년도 소득: 건강보험은 전년도 소득도 반영
  4. 업종별 요율: 산재보험은 업종마다 다름
  5. 계산 시점: 연도 중 요율 변경 가능

해결법: 정확한 금액은 4대사회보험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하거나, 회사 인사팀에 문의하세요.

Q2. 비과세 항목은 무엇인가요?

A: 4대보험 계산 시 제외되는 항목입니다.

주요 비과세 항목

  • 식대: 월 20만원까지
  • 차량 유지비: 월 20만원까지
  • 육아수당: 월 10만원까지
  • 연구보조비, 야간·휴일근로수당 등

예시: 월급 300만원 (식대 20만원 포함)
→ 4대보험 계산 기준: 280만원

Q3. 두루누리 지원금은 어떻게 받나요?

A: 10인 미만 사업장에서 근로자 채용 시 자동 적용됩니다.

지원 대상

  • 월평균 보수 280만원 미만 근로자
  • 10인 미만 사업장
  • 신규 가입 또는 취득 후 3년 이내

지원 내용

  • 국민연금·고용보험료의 80% 지원
  • 최대 36개월 지원

신청 방법

  1. 4대보험 취득신고 시 두루누리 신청 체크
  2. 또는 www.insurancesupport.or.kr에서 별도 신청

Q4. 프리랜서도 4대보험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다만 가입 형태에 따라 다릅니다.

프리랜서 4대보험 가입

  • 고용보험: 자발적 가입 가능 (월 보수의 2.25%)
  • 국민연금: 지역가입자로 가입 (월 소득의 9% 전액 본인 부담)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산재보험: 일부 업종만 특례 가입 가능

Q5. 상여금에도 4대보험이 붙나요?

A: 네, 상여금도 보수에 포함됩니다.

상여금 4대보험 적용

  • 정기 상여금: 월 보수로 환산하여 부과
  • 비정기 상여금: 받은 달에 일괄 부과

예시: 연 600만원 상여금 (분기별 150만원)

  • 매월 보수에 50만원씩 추가 계산
  • 또는 상여금 받은 달에 일괄 부과

Q6. 퇴직금에도 4대보험이 붙나요?

A: 아니요, 퇴직금은 4대보험 제외입니다.

퇴직금은 보수가 아닌 퇴직 시 일시금이므로 4대보험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퇴직소득세는 별도로 부과됩니다.

Q7. 육아휴직 중에도 4대보험을 내야 하나요?

A: 육아휴직 중에는 4대보험료가 면제됩니다.

육아휴직 중 4대보험

  • 국민연금: 납부 예외 신청 가능
  • 건강보험: 사업주가 전액 부담
  • 고용보험: 면제
  • 산재보험: 면제

육아휴직급여는 고용보험에서 지급되므로 별도 보험료 없이 수령할 수 있습니다.

Q8. 이직 시 4대보험은 어떻게 되나요?

A: 이직 시 공백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이직 시 체크리스트

  1. 퇴사일과 입사일 확인 (공백 최소화)
  2. 전 직장에서 상실신고 확인
  3. 새 직장에서 취득신고 확인
  4. 공백기간이 있다면:
    •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전환 또는 납부 예외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전환 또는 피부양자 등록
    •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 가능

Q9. 계산 결과는 법적 효력이 있나요?

A: 아니요, 참고용입니다.

4대보험 계산기는 모의 계산으로, 실제 고지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금액은 다음 기관에서 확인하세요.

  • 국민연금: 국민연금공단 (1355)
  • 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 고용·산재보험: 근로복지공단 (1588-0075)

Q10. 산재보험 요율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A: 고용노동부 고시 또는 회사 인사팀에 문의하세요.

산재보험 요율 확인 방법

  1.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www.comwel.or.kr)
  2. 사업종류별 산재보험료율표 다운로드
  3. 또는 계산기 고급 옵션에서 업종 선택 시 자동 적용

주요 업종 산재보험 요율 (2025년)

  • 사무직: 1.65%
  • 제조업: 1.6%
  • 건설업: 2.0~7.0%
  • 음식점업: 1.05%
  • IT/소프트웨어: 0.6%